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김민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볼게요.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보이는데요. 일제히 뭘까요?<br> <br>한 후보자를 향해 민주당이 일제히 '소통령'이라고 비판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국민의힘이 검수완박 합의안을 파기한 배후로 한 후보자를 지목했습니다. <br><br>[윤호중 /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 (오늘, MBC 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<br>"장관 후보자일 뿐인 한동훈 후보자의 힘이 정말 크구나. 소통령이라더니 국민의힘을 지배할 정도 권력을 가지고 있구나…." <br> <br>[박주민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오늘)]<br>"소통령인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반발이 있자 이러한 여야 합의를 파기하고자 지금 국민의힘은 나서고 있습니다." <br> <br>[정청래 / 더불어민주당 의원 (어제)]<br>"권성동 원내대표는 소통령 한동훈의 부하입니까?" <br><br>Q. 안철수 인수위원장, 이준석 대표 다 반대했는데, 왜 한 후보자를 배후로 지목하고 있을까요? <br><br>한 후보자가 연일 검수완박에 반대하며 여론전을 펼치고 있어 눈엣가시로 여기는 것도 있지만요. <br><br>일제히 '소통령'으로 부른 건 검사 출신의 대통령 최측근이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각시키려 한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> <br>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"잘 모르면 법률가에게 물어야 한다, 민주당도 추미애 전 장관에게 자문을 구하라"고 반박했습니다. <br><br>Q. 민주당은 윤석열 당선인 뒤에 김건희 여사가 있다는 공세도 다시 시작했어요. <br><br>네, 오늘은 대선 때 많이 비유했었던 최서원 씨를 또 등장시켰습니다. <br><br>[김성환 /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(오늘)]<br>"김건희 씨 방문 후에 관저 위치가 바뀌게 된 의혹은 여러 군데에서 그 정황이 확인되고 있습니다. 국민은 최근 김건희 씨의 행태에서 제2의 최순실을 보게 될까 걱정이 많습니다." <br><br>Q. 김건희 여사가 새로운 관저 위치를 결정했다는 의혹인데, 당선인 측은 결정된 뒤에 김 여사가 방문했다고 하고 있죠. <br><br>네, 민주당은 윤 당선인이 한동훈 후보자와 김건희 여사에 휘둘리고 있다는 공격이 통한다고 보는 것 같습니다. <br><br>Q. 다음 주제 보시죠. 어제 문 대통령 대담에서 한 발언인 것 같은데요. 억울함을 호소했다고요. <br><br>네. 지난 대선을 경기장, '링'으로 표현하며 정권교체 책임론에 억울한 게 있다고 했습니다. <br><br>[문 대통령(어제)]<br>"억울한 점을 약간 조금 이야기하자면 저는 한 번도 링 위에 올라가 본 적이 없거든요. 입도 뻥끗할 수 없었죠. 그런데 (저 때문에) 선거 졌다, 이렇게 말하는 건 문제가 있어 보이고요." <br> <br>Q. (대통령이 링에 못 오르는 건) 그건 룰이니까요. 그렇죠? <br> <br>"별로 나 룰인지 잘 모르겠어요."<br><br>Q. 우리나라만 대통령을 "꽁꽁 묶어놓고 선거를 치른다"고도 했던데요. <br><br>네. 만약 '링'에 올랐다면 선거에 도움이 됐을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. <br><br>"지지 활동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고, 정부 성과에 대한 부당한 공격에 얼마든 맞설 수 있었을 것"이라는 겁니다.<br><br>Q. 정책들에 대한 박한 평가도 억울하다고 느끼는 것 같더라고요. <br><br>코로나로 피해를 본 소상공인 대책에 대한 평가부터 들어보시죠. <br><br>[문 대통령(어제)]<br>"정부로서는 재정적으로 할 수 있는 거의 최선을 했다고 생각합니다. 우리가 손실보상을 법제화한 유일한 나라입니다. 정부로서는 열심히 했다 생각하고요." <br><br>28번이나 대책을 내놨던 부동산 문제는 "5년 내내 가장 무거운 짐이었다"고 했지만 할 말이 많아 보였습니다. <br><br>[문 대통령(어제)]<br>"부동산 가격의 상승이 전 세계적인 현상이라는 겁니다. (비슷한 수준의 나라 중) 우리나라의 부동산 가격 상승 폭이 가장 작은 편에 속해요. 구조적 원인을 함께 봐줘야만 온당한 평가가 (됩니다.)"<br><br>국민의힘은 "문 대통령의 현실과 동떨어진 일관성 있는 인식이 불러온 자화자찬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><br>Q. 저는 이 대목에 눈길이 가던데요. 임기 말 40%의 높은 지지율에 대해 '덧없다'는 표현을 썼더군요. <br><br>"정권 교체하겠다는데 내 지지율이 높은 게 무슨 소용이냐"는 말인데요. <br> <br>국정운영에 대한 박한 평가는 억울하겠지만 국민이 5년 만의 정권교체를 선택했다는 점은 뼈아픈 대목일 것 같습니다. (국민선택) <br><br>Q. 지난 5년의 회한이 왜 없을까요. 여랑야랑이었습니다. <br><br>구성: 김민지 기자·김지숙 작가 <br>연출·편집: 정새나PD·배영진PD <br>그래픽: 박정재 디자이너<br /><br /><br />김민지 기자 mj@donga.com